선물로 많이 들어오는 여러 가지 상품권 중에서도 온누리상품권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백화점 상품권이나 문화상품권을 가장 많이 알고 계시고 사용해 보셨으리라 생각하는데요. 온누리상품권은 들어는 봤지만 사실 앞서 말한 두 가지 상품권에 비해 선물로 들어온 적은 별로 없어 비교적 생소하게 느껴집니다. 저도 작년에 온누리상품권이 선물로 들어왔었는데 당시 사용처를 잘 모르고 생소하기도 해서 서랍 속에 넣어놓고 존재를 잊고 있었는데요. 우연히 발견해서 잊기 전에 써야겠다는 생각에 사용처를 알아보고 사용해 보았습니다.
목차 1. 온누리상품권이란 2. 온누리상품권 종류 3. 온누리상품권 구매방법 4.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5. 유의사항 |
● 온누리상품권이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이하.'전 통시장법')에 따라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의 판매를 촉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행하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전용 상품권입니다.
● 온누리상품권 종류
○ 지류상품권 종류
- 5천원권, 1만 원권, 3만 원권
○ 모바일상품권 종류
- 5천 원권, 1만 원권, 3만 원권, 5만 원권 10만 원권
○ 전자카드 상품권 종류 (충전식 카드형)
- 5천 원권, 1만 원권, 3만 원권, 5만 원권 10만 원권
● 온누리상품권 구매방법
○ 구매처
- 지류상품권
지류상품권의 판매처는 총 16곳의 은행 지점에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은 농협중앙회(농협은행)는 온누리상품권을 취급, 지역농축협 (지역 00 농협)은 온누리상품권 미취급 하니 이점 참고하셔서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 모바일상품권
모바일 상품권 구매처는 올원뱅크(농협), 투유뱅크(경남), 스마트뱅킹(광주), IM뱅크(대구), 썸뱅크(부산), 뉴스마트뱅킹(전북), 머니트리, 비플제로페이, 체크페이, 페이코, 유비페이, 신한은행(sol), 핀트, 핀크, 제로페이 온, 티머니페이, 제로페이 010, 시럽 스마트월렛, 우리은행(won), 콕 뱅크입니다.
- 전자카드 상품권 (충전식 카드형)
전자카드 상품권 구입처는 신한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 비씨카드, KB국민카드, 현대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 BC 이용카드(기업, 농협, 우리, BC바로, 대구, 경남, 부산, 새마을금고, 케이뱅크, 수협, 제주, 신협, 광주, 우체국), KB 이용가능카드(국민, 전북)입니다.
↓ 온누리 상품권 구매지점 찾기 ↓
가맹점포찾기
홈 > 온누리상품권 > 구매지점찾기
www.sbiz.or.kr
○ 할인혜택
- 개인구매 시 : 지류 & 충전식 카드형 상품권 → 5~10% 할인 (※ 단, 현금 구매 시 / 본인 신분증 제시 필요, 대리구매 불가)
- 법인구매 시 : 없음
○ 구매한도
- 개인구매 시
지류 상품권 → 50~100만 원
충전식 카드형 & 모바일 상품권 → 70~150만 원
(※ 단, 현금 구매 시 / 본인 신분증 제시 필요, 대리구매 불가)
- 법인구매 시 : 없음
○ 결제수단
- 개인구매 시 : 현금, 공무원복지 카드 (※ 개인카드 결제불가)
- 법인구매 시 : 현금, 법인카드
※ 법인카드 및 공무원 복지카드 사용 가능 은행
- 새마을금고·신협 : (법인카드, 공무원 복지카드) 전 카드 사용가능 (※ 단, 카드단말기 설치 지점에 한하여 가능)
- 우체국 : (법인카드) 전 카드 사용가능, (공무원 복지카드) 우체국 전용 공무원 복지카드만 가능
- 기업은행·우리은행 : (법인카드, 공무원 복지카드) BC계열 제휴 카드만 가능
- 경남은행·대구은행 : (법인카드, 공무원 복지카드) BC계열 자사 카드만 가능
- 광주은행·부산은행·NH농협·수협 : (법인카드, 공무원 복지카드) 자사 카드만 가능
- 전북은행·국민은행·신한은행 : (법인카드) 자사 카드만 가능, (공무원 복지카드) 사용불가
- 하나은행 : (법인카드) 및 (공무원 복지카드) 사용불가
●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 전국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 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 가맹점은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 온누리상품권 앱에서 확인
↓ 사용처 가맹점 확인하기 ↓
가맹점포찾기
홈 > 온누리상품권 > 가맹점포찾기
www.sbiz.or.kr
- 가맹점에 부착된 스티커를 확인
● 유의사항
○ 상품권 취소 및 권종교환
- 상품권 판매 취소는 판매 당일, 판매점에서 구매자 본인만 가능하며 상품권 권종간의 교환은 불가
○ 유효기간
- 발행일로부터 5년
○ 문의처
- 온누리상품권 통합 문의처 : 중소기업 통합 콜센터 (1357)
- 충전식카드형 온누리 상품권 문의처 : 온누리상품권 고객센터 (1533-1728)
- 모바일 상품권 문의처 : 제로페이 고객센터 (1670-0582)
온누리문화상품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용처에 대해 많이 알고 계시는 곳이 시장인데, 제가 살고 있는 동네 마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더라고요. 저는 마트 전단지에서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다는 문구를 보고 알게 되었는데 이 마트를 제외하고 실제 동네 유아 관련 잡화를 파는 가게에서도 출입문에 온누리 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다고 따로 안내종이가 부착되어 있었습니다. 저는 지류상품권이 있는데 상품권 금액의 60% 이상 써야 잔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보통 마트 가서 몇 가지 골라도 6,000원은 금방 넘기기 수월하니 개인적으로 저는 마트에서 아주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류 상품권의 경우 현금 구매 시 할인받고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번거롭지만 지류 온누리 상품권 구매 후 마트에서 사용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더 저렴하게 살 수 있게 되니 구매처가 가깝다면 충분히 시도해 볼 만합니다. 현명한 소비생활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댓글